많은 분들이 유럽의 축구리그, 특히 프리미어리그(EPL)와 같은 시스템에 익숙하실 텐데요. 하지만 북미의 미국 축구리그인 MLS는 그 구조와 운영 방식이 완전히 달라 처음 접하면 다소 복잡하고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미국 스포츠 특유의 ‘폐쇄형 리그’ 시스템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제가 없고 컨퍼런스 분할, 그리고 별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은 흥미로우면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손흥민 선수 이적 후, 최근 국내 축구 팬들의 관심이 MLS로 쏠리면서 이 역동적인 리그의 MLS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단순한 경기 방식이 아니라, 왜 이런 시스템으로 운영되는지 그 배경까지 알면 관람의 재미가 배가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축구리그 MLS의 복잡한 컨퍼런스 구분, 정규 시즌 특징, 그리고 가장 핵심인 플레이오프와 최종 우승 시스템까지 쉽고 명확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낯설게 느껴지는 미국 축구리그 구조
MLS(Major League Soccer)는 1996년에 출범한 이후 미국과 캐나다에 연고를 둔 북미 지역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입니다. 현재는 참가팀이 총 30개 팀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크게 성장했습니다. 이 중 3개의 캐나다 팀을 제외하면 모두 미국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승강제가 없다?
유럽 축구만 경험하셨다면 미국 축구리그의 운영 방식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승강제가 없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MLS 구조는 NBA나 NFL처럼 미국 내 인기 스포츠 리그의 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시즌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팀이 하위 리그로 강등될 걱정이 없으며, 대신 플레이오프라는 별도의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결정합니다.
선수들의 연봉이 제한적인 이유
또 한 가지 독특한 점은, MLS가 리그 전체를 하나의 법인처럼 운영하는 단일 법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선수 계약이나 연봉 관리를 리그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여, 리그 전반의 재정 건전성과 팀 간의 경쟁 균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이해하면 MLS의 경기를 더욱 깊이 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MLS 구조의 핵심: 동부 및 서부 컨퍼런스
미국 축구리그 MLS는 미국의 방대한 영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동 거리를 줄이기 위해 리그를 두 개의 컨퍼런스로 분할하여 운영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시스템은 북미 스포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입니다. 현재 리그는 동부 컨퍼런스(Eastern Conference)와 서부 컨퍼런스(Western Conference)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컨퍼런스 분할은 단순한 구분을 넘어, 정규 시즌의 경기 일정과 플레이오프 대진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각 컨퍼런스는 15개 팀씩, 총 30개 팀으로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컨퍼런스 | 팀 수 | 대표 팀 예시 |
---|---|---|
동부 컨퍼런스 | 15개 | 필라델피아, 신시네티, 인터 마이애미, 뉴욕 시티 FC 등 |
서부 컨퍼런스 | 15개 | LAFC(손흥민 소속), 센디에이고, LA 갤럭시, 미네소타 등 |
컨퍼런스 구조에서는 팀들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컨퍼런스 내 팀들과 더 자주 맞대결을 펼치게 됩니다. 이는 팬들의 지역 라이벌 의식을 고취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특히, 각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 여부는 해당 컨퍼런스 내에서의 순위에 따라 전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소속 컨퍼런스에서의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예를 들어, 서부 컨퍼런스의 LAFC와 LA 갤럭시의 경기는 팬들의 엄청난 관심을 받는 지역 더비로 유명합니다.
MLS 정규 시즌의 특징과 경기 방식
미국 축구리그 MLS의 정규 시즌 일정은 보통 늦은 2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약 8개월에 걸쳐 진행됩니다. 이 기간 동안 각 팀은 긴 여정을 소화하며, 총 34경기를 치르게 됩니다. 이 경기 구성 방식은 MLS의 독특한 컨퍼런스 중심 구조를 가장 잘 보여줍니다.
MLS 경기 구성: 컨퍼런스 맞춤형 일정
정규 시즌의 경기 일정은 각 팀의 지리적 특성과 라이벌 구도를 고려하여 설계되며, 이는 곧 플레이오프 진출권 확보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 경기가 중요합니다. 경기 구성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 같은 컨퍼런스 내 팀: 소속 컨퍼런스 내의 팀들과는 2회 이상 맞대결을 펼치며 치열한 경쟁을 이어갑니다.
- 다른 컨퍼런스 팀: 반면, 다른 컨퍼런스에 속한 팀들과는 일부 팀에 한해서만 1회 대결을 펼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불필요한 장거리 이동을 최소화하고, 팬들이 열광하는 지역 더비 매치의 횟수를 늘리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반면, 우리가 가장 기대하고 있는 손흥민 선수와 메시 선수의 맞대결 매치를 자주 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은 조금 아쉽습니다. 두 선수가 플레이오프에서 극적으로 만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정규 시즌 순위 결정 방식
미국 축구리그 MLS의 경기 결과는 우리가 익숙한 유럽식 승점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정규 시즌이 종료되면 이 승점에 따라 동부·서부 컨퍼런스별 최종 순위가 결정됩니다. 이 순위는 곧바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하는 기준이 되며, 토너먼트 대진표를 구성하는 데도 직접 반영되므로, 한 경기의 승패도 놓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미국 축구리그 플레이오프 시스템 이해하기
미국 축구리그 MLS의 정규 시즌이 막을 내리면, 최종 목표인 MLS 컵을 향한 여정, 즉 플레이오프(MLS Cup Playoffs)가 시작됩니다. 이 토너먼트는 유럽의 컵대회 방식과 달리, 북미 스포츠 특유의 시리즈와 단판 승부가 혼합된 구조로 진행되어 예측하기 어려운 역동적인 재미를 제공합니다.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 및 방식
각 컨퍼런스별로 상위 9개 팀만이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획득합니다. 이 중 8위와 9위 팀은 본선에 앞서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합니다. 전체적인 진행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❶ 플레이인(Play-In) 라운드
- 8위 대 9위 단판 승부: 각 컨퍼런스의 8위 팀과 9위 팀이 단판 승부로 대결합니다.
- 승리 팀의 혜택: 이 경기에서 승리한 팀은 1라운드에 합류하여 정규 시즌 1위 팀과 맞붙는 자격을 얻습니다.
❷ 1라운드 (Best-of-3 시리즈)
- 참가팀: 컨퍼런스 1위부터 7위 팀과 플레이인 승리 팀, 총 8팀이 맞대결합니다.
- 경기 방식: 3전 2선승제로 진행됩니다. 이 방식은 NBA와 같은 북미 프로 스포츠의 영향을 받은 MLS 구조의 특징입니다.
- 특이 규칙: 무승부가 없으며, 동점 시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로 승부를 결정합니다.
❸ 컨퍼런스 토너먼트 진행
- 단판 토너먼트 전환: 1라운드를 통과한 팀들은 이때부터 단판 승부 방식의 토너먼트로 전환됩니다.
- 홈 경기 우선권: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에게 홈 경기 개최 우선권이 주어지므로, 정규 시즌 성적이 끝까지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❹ MLS컵 결승전
- 동부와 서부 컨퍼런스를 각각 우승한 두 팀이 맞대결을 펼칩니다.
- 단판 승부로 최종 MLS 챔피언을 결정합니다.
이처럼 MLS 플레이오프는 강팀에게 유리한 시리즈 방식과 이변을 낳기 쉬운 단판 토너먼트가 절묘하게 조합되어 있어, 유럽 축구와는 완전히 다른 긴장감을 고조시킵니다.
미국 축구리그 우승 방식: MLS컵 vs 서포터즈 실드
미국 축구리그에서는 성격이 전혀 다른 두개의 주요 트로피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리그의 최종 챔피언을 결정하는 방식이 완성됩니다.
서포터즈 실드 – 정규시즌 성적 1위의 상징
서포터즈 실드는 정규시즌 전체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쌓은 팀에게 수여됩니다. 유럽 축구 팬이라면 익숙한 ‘리그 우승’ 개념과 가장 가까운 트로피입니다. 하지만 MLS에서는 이 실드를 최종 우승으로 보지는 않으며, 의미는 분명하지만 상징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MLS컵 – 플레이오프 챔피언의 영예
앞 단락에서 언급된 MLS컵은 정규시즌 후 진행되는 플레이오프에서 최종 승리를 거둔 팀에게 주어지는 트로피입니다. 미국 축구리그에서는 이 MLS컵을 가장 중요한 ‘최종 우승’으로 간주하며, 팬들의 관심도와 언론의 주목도 역시 이 컵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손흥민 선수가 뛰고 있는 LAFC가 정규시즌에서 1위를 하면 서포터즈 실드를 받게 되고, 이후 플레이오프까지 우승한다면 MLS컵까지 들어올리게 됩니다. 이처럼 두 트로피를 한 시즌에 모두 거머쥐는 경우 ‘더블(Double)’이라고 불리며, MLS 역사에서도 매우 값진 기록으로 남게됩니다.
과거 더블 우승 팀 예시
- D.C. 유나이티드 (1997, 1999)
- LA 갤럭시 (2002, 2011)
- 토론토 FC (2017)
- LAFC (2022)
유럽 리그와 MLS의 주요 구조적 차이점 비교
미국 축구리그를 이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우리에게 익숙한 유럽의 대표 리그인 EPL(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과의 구조적 차이점을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아래표를 한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항목 | EPL | MLS |
---|---|---|
리그 구조 | 단일 리그 | 동부·서부 컨퍼런스 구분 |
팀 수 | 20팀 | 30팀 (15+15) |
승강제 | 있음 | 없음 |
시즌 우승 방식 | 정규시즌 승점 1위 | 플레이오프 우승 (MLS컵) |
경기 수 | 38경기 | 34경기 (비대칭 편성) |
컵대회 | FA컵, 리그컵 등 다수 | US 오픈컵, 리그스컵 등 |
국제 대회 진출 | 리그 순위 + 컵대회 결과 | 리그 성적 + 컵 성적 복합적 반영 |
MLS는 리그 전반의 안정성을 중시하는 미국 스포츠의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즉, 승강제가 없는 프랜차이즈 시스템, 정규 시즌의 꾸준함보다 토너먼트 우승(MLS컵)을 최고의 가치로 두는 문화, 그리고 팬 경험을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점이 유럽 리그와 가장 크게 구별되는 지점입니다. 유럽 리그에 익숙하여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차이점을 인지해 두시면 미국 축구리그만의 역동적이고 색다른 재미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2025 시즌 미국 축구리그 순위
미국 축구리그 MLS의 2025 정규 시즌은 현재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한 팀들의 순위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합니다. 특히 상위권 팀들은 홈 경기 이점을 차지하기 위해 마지막까지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포스팅 일자(2025년 9월 28일)를 기준으로 동부 및 서부 컨퍼런스의 순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순위는 플레이오프 진출권(1위~9위) 확보에 직결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동부 및 서부 컨퍼런스 현재 순위 (2025년 9월 28일 기준)
순위 | 동부 컨퍼런스 (승점) | 서부 컨퍼런스 (승점) |
---|---|---|
1 | 필라델피아 (63) | 샌디에이고 (57) |
2 | 신시내티 (58) | 화이트캡스 (57) |
3 | 뉴욕 시티 (56) | 미네소타 (55) |
4 | 인터 마이애미 (56) | LAFC (53) |
5 | 샬럿 (53) | 시애틀 사운더스 (46) |
6 | 내슈빌 SC (53) | 포틀랜드 팀버스 (46) |
7 | 올랜도 시티 (51) | 오스틴 (44) |
8 | 콜럼버스 크루 (50) | 콜로라도 (40) |
9 | 시카고 (48) | 산호세 (38) |
10 | 뉴욕 레드불스 (43) | 솔트레이크 (37) |
11 | 뉴잉글랜드 (35) | 댈러스 (37) |
12 | 토론토 (28) | 휴스턴 다이너모 (36) |
13 | 몬트리올 (27) | 세인트루이스 (28) |
14 | 애틀랜타 (27) | 캔자스시티 (27) |
15 | DC 유나이티드 (25) | LA 갤럭시 (24) |
MLS는 정규 시즌 막바지인 만큼 순위가 남은 경기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플레이오프 진출 여부를 가르는 9위권 경쟁이 치열하며, 최종적인 순위 확정은 시즌 종료 시점까지 지켜보셔야 합니다.
FAQ: 미국 축구리그 MLS 자주 묻는 질문
Q1. 정규 시즌 1위 팀이 MLS 최종 우승팀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네, 아닙니다. 미국 축구리그에서는 정규 시즌 전체 승점 1위 팀에게는 ‘서포터즈 실드(Supporters’ Shield)’가 주어집니다. 하지만 리그의 공식적인 최종 챔피언 타이틀은 플레이오프 토너먼트의 최종 승자에게 수여되는 MLS컵을 획득해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Q2. 미국 축구리그에 승강제 시스템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MLS는 유럽 축구와 달리 북미 스포츠 전통인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구단들이 리그 소속권을 ‘구매’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구단의 재정적 안정성과 장기적인 투자를 보장하기 위해 승격 및 강등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Q3. 정규 시즌의 경기 수는 매년 고정적으로 진행되나요?
현재 MLS는 팀당 34경기 체제로 정규 시즌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리그 확장 계획이나 컨퍼런스의 팀 수 조정 등 운영상의 변화에 따라 경기 일정이 미세하게 유동적으로 조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매 시즌 공식 일정을 통해 최종 확정된 경기 수를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Q4. 같은 연고지를 둔 LAFC와 LA 갤럭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두 팀 모두 로스앤젤레스(LA)를 연고지로 하고 있지만, 팀의 역사와 성격은 다릅니다. LA 갤럭시는 리그 출범 원년인 1996년에 창단된 MLS의 전통 명문 클럽입니다. 반면, LAFC는 2018년에 창단된 비교적 신생팀이지만 빠르게 강팀으로 성장했습니다. 이 두 팀의 맞대결은 ‘엘 트라피코(El Tráfico)’라는 별칭으로 불릴 만큼 리그 최고의 라이벌전으로 손꼽힙니다.
Q5. 미국 축구리그는 유럽 이적 시장과 어떻게 다른가요?
MLS는 유럽처럼 구단끼리 자유롭게 이적 협상을 하는 구조가 아닙니다. 리그 자체가 선수 계약을 관리하는 단일 법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적도 리그의 규칙에 따라 움직입니다. 트레이드, 드래프트, 할당금 같은 미국식 제도가 중심이며, 선수 영입에도 샐러리캡과 지정선수 제도(DP)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구단 간 전력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지만, 유럽처럼 자유로운 이적 시장은 아닙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미국 축구리그 MLS의 독특하고 흥미로운 운영 방식을 살펴보았습니다. 컨퍼런스 분할, 플레이오프 중심의 우승 시스템 등은 MLS만의 색깔을 만들어내며, 예측하기 어려운 경기 흐름과 균형 잡힌 경쟁을 이끌고 있습니다.
유럽 축구에 익숙한 분들에게는 다소 낯설 수 있지만, 그만큼 새로운 관전 포인트가 많은 리그입니다.
오늘 소개한 내용을 바탕으로 MLS 경기를 더 재미있게 즐기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규시즌 막바지와 치열한 플레이오프도 함께 지켜보며, 미국 축구의 색다른 매력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 함께보면좋은글